NFT(Non-fungible Token·대체불가토큰) ?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과 같은 블록체인 기술로 만들어진 디지털 가상자산이다
NFT가 적용된 작품에는 소유권과 거래 이력이 명시된다. 일종의 ‘디지털 정품·소유 보증서’이다.
현실 세계의 부동산 등 자산은 거래증서와 등기부로 소유권을 이전하고 매매하지만, 가상 세계의 디지털 자산은 탠저블 하지 않아 실체가 없고 무한 복제가 가능하여 소유권을 가지기 어려운 점을 NFT 기술로 자산으로 인정받는 것이다.
<현실세계 부동산과 가상세계 디지털 NFT 자산의 거래 개요>
NFT를 디지털 아트에 적용하면 작품의 소유권과 거래이력이 명시되어 나의 소유권에 대한 인증서가 되며, 진품에 대한 보증서가 되는 셈이다.
누구에게서 구매하였고, 다시 다른 사람에게 팔 경우 누구에게 소유권이 넘어 갔는지 이력이 NFT에 남아 있게 된다.
NFT로 등록하는 디지털 자산의 종류 ?
- 이미지(그림), 오디오 뮤직, 동영상, 게임 아이템, 아이콘, 웹사이트 도메인, 디지털 카드 등 모든 디지털 콘텐트
- PNG, GIF, JPEG, WEBP, MP3, MP4 등 다양한 형식의 콘텐츠, 컬렉션이라고도 함
기술적으로 복제 불가한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독점적 소유권을 보장한다.
블록체인 기술에는 NFT 출처와 발행시간, 소유자 내역 등의 정보가 공개되기 때문에 추적하기도 쉽습니다.
NFT 토큰을 ‘n분의 1’ 로 나눠 부분 소유권을 가질수 있어서 거래 및 유통이 활성화 될 수 있는 것도 NFT 장점이다.
NFT의 생성과 발행은 이더리움 블록체인인 ERC(Ethereum Request for Comment)-721 프레임워크가 많이 사용된다. NFT에서는 각 토큰별 가치가 서로 다르게 발행된다.
반면에, 암호화폐 토큰을 발행할 때 사용하는 ERC-20 등 다른 프레임워크에서 발행된 토큰 1개당 가격은 모두 같다는 차이점이 있다
<FT와 NFT의 차이>
<출처> coindoo.com, KB경영연구소
NFT로 디지털 아트 등록, 거래 방법?
NFT 거래를 하려면 은행 거래를 위해 계좌를 만드는 것과 같이 NFT거래서에서 전자지갑을 개설해야 한다.
NFT 거래소 계정을 만들고, 디지털 아트를 등록하면 작품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생성된다
메타데이터는 시간 기록(타임스탬프)와 함께 고유한 문자열로 키값이 되어 가상 자산인 이더리움 토큰 형태로 발행되는 것이 NFT이다.
메타데이터란?
데이터를 설명하는 숨겨진 데이터이다. 예로, 지금 읽고 있는 글도 웹브라우저의 HTML 로 표현된 데이터이고, HTML의 <head> 안에는 문서 작성자나 문서 요약과 같이 문서를 설명하는 데이터는 메타데이터이다. 또한 파워포인트 같은 화일의 설정 정보에 들어가서 볼수 있는 화일 생성자, 생성일자, 변경일자 등도 메타데이터이다
NFT 거래소, 즉 마켓플레이스에서 이더리움과 같은 암호화폐나 현실화폐로 NFT기반의 디지털 콘텐트를 사고 파는 것이다.
NFT 거래 절차 ?
1. 디지털 지갑 및 이더리움 토큰 생성
우선, 이더리움 토큰을 담을 수 있는 디지털 지갑이 필요하다. "메타마스크"나 "마이이더월렛", "아인토큰" 등 많이 쓰이는 이더리움 지갑을 만들면 되고, NFT 플랫폼에서 지원하는 디지털 지갑이어야 한다.
둘째, 이더리움 토큰(ETH)이 필요하다. 플랫폼 이용료로 NFT를 제작, 판매할 때 이더리움 가스비가 청구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가스비란?
이더리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토큰을 거래할 때 드는 수수료, 즉 코인 전송시 전송속도, 전송량에 따른 가스수수료이다.
가스 단위(Gas Unit : Gwei)는 수행해야 하는 작업량의 측정값이다. Gwei라는 이더리움의 작은 값으로 단위를 나타낸다.
가스비 = 가스가격 X 가스 한도로 측정, 가스한도는 보통 21000이나, 가스가격을 수정해서 코인의 전송속도를
조금 빠르게 또는 느리게 조정 가능하다.
2. NFT 플랫폼 가입
디지털 지갑과 ETH가 준비되었다면, NFT를 만들고 사고 팔 수 있는 플랫폼(거래소, 마켓플레이스)에 가입한다
플랫폼은 대표적으로 가장 큰 Opensea를 비롯하여 수십개의 마켓플레이스가 있다.
NBA Top Shot 처럼 콘텐츠 종류별로 특화되어 있는 마켓플레이스도 있다.
아래 표는 최근 한달간 NFT 마켓플레이스별 거래량이 가장 높은 순 Top 10을 뽑은 것이다.
(출처) https://dappradar.com/nft/marketplaces
'NBA Top Shot' 은 덩크슛 등 NBA의 멋진 동영상을 NFT로 만들어 판매하고, 농구 매니아들은 자기만이 그 장면을 소유했다는 뿌듯한 자만감을 가지고, 나중에 그 선수가 유명해질 경우 등 투자가치가 올라 갈 수 가 있다.
4만개 한정판 카드팩(동영상 클립 여러개 묶음) 판매에 30만명 이상이 판매 시간에 대기하고, 운좋게 구매하고 나면 바로 팔아도 2배정도에 되 팔기도 한다.
'Atomicmarket'은 여러 종류의 게임 아이템을 거래하고 있는데, 거래자수로는 최대이다.
3. NFT 생성 및 판매 해보기 (일반적인 절차)
1) 거래 플랫폼에 로그인 후, 디지털 지갑을 연결
2) NFT를 담을 디지털 자산 선택 및 업로드
3) NFT 판매 시 표시될 정보, 메타데이터 입력하여 플랫폼에 작품 등록
- NFT 이름, 자산에 대한 상세 설명
- 자산에 접근할 수 있는 정보나 링크를 구매자에게만 노출 등 설정(Unlockable Content)
4) 판매 시작 공고
- 원하는 판매가 또는 경매가를 입력하고 판매 공고(포스팅)
5) 구매 요구시 해당 NFT에 연결된 디지털 지갑으로 거래를 승인하면 NFT가 판매됨
디지털로 전환(Digital Transformation)되는 현대 사회에서 디지털 기반의 소비나 유통의 변화를 빠르게 파악하고 적응하는 것이 개인이나 기업, 국가의 경쟁력일 수 밖에 없다
누구나 자신만의 유무형의 자산을 가지고 있고, 가치를 높이고 보존하기 위해 NFT로 만들어 보는 것이 작은 시작일 것이다.
- 에필로그 -
"지금 막 내 트위터 계정을 설정했다.(just setting up my twttr)"
2006년 5월 '트위터' 서비스를 론칭하면서 잭 도시 트위터 CEO의 첫 트윗 '진품 증명서'는 말레이시아 블록체인 기업 CEO에게 1,639.58이더리움에 팔렸다. 당시만 해도 290만 달러(약 32억4,000만 원)이었다.
2021. 3.11일 '비플'이라 불리는 디지털 화가 '마이크 윈켈만'이 경매에 부친 NFT 작품이 6930만 달러(약 785억 원)에 낙찰, 세계적 경매업체 크리스티가 주관했다.
300Mb가량 용의 1개의 컴퓨터 JPG 파일이며, 비플은 당초 100달러를 예상했다
크리스티는 이번 경매에 처음으로 이더리움을 통한 결제를 허용했다.
'NFT' 카테고리의 다른 글
NFT 마켓 뉴스 ( '21. 9월. 1주) (1) | 2021.09.02 |
---|---|
NFT 거래소 ‘미르니’ 출범 (0) | 2021.07.28 |
NFT 저작권 침해 이슈 (0) | 2021.07.26 |
NFT 동향 (0) | 2021.07.09 |
'대체 불가 디지털 자산 인증서(NFT)' 거래 급증 급감 Why? (1) | 2021.07.07 |